한일 다문화 자녀 일본어 왕초보 공부법 "인사"를 합시다!!
-만났을 때 "인사"
일본의 인사는 아침, 점심, 저녁 때에 따라 인사말이 다르다.
1. 아침 : おはよう [오하요]
よ(요)뒤에 う(우)가 있기 때문에 요를 길게 발음해서 "오하요-"라고 말한다.
오하요는 안녕이란 뜻이다
おはようございます [오하요우고자이마스]
よ(요)뒤에 う(우)가 있기 때문에 요를 길게 발음해서 "오하요-고자이마스"라고 말한다.
오하요고자이마스는 안녕+있다의 존경어가 합쳐져서 안녕하세요라는 뜻이 된다.
※ 참고 : 영어의 good morning 같은 느낌이다.
2. 점심 : こんにちは [콘니치와]
콘니치하라고 적혀있지만, "콘니치와"라고 발음한다.
※ 참고 : ん= ㄴ,ㅇ,ㅁ발음, は는 "하"이지만 이때는 "와"라고 발음
안녕과 안녕하세요 둘 다 뜻한다.
※ 참고 : 영어의 hello 같은 느낌이다.
3. 저녁 : こんばんは [콤방와]
콤방하라고 적혀있지만, "콤방와"라고 발음한다.
※ 참고 : ん= ㄴ,ㅇ,ㅁ발음, は는 "하"이지만 이때는 "와"라고 발음
콘니치와와 같이 둘 다 뜻한다.
※ 참고 : 영어의 good evening 같은 느낌이다.
-헤어질 때 "인사" 반말
1. さよなら [사요나라]
"잘 가"라는 뜻이지만, 긴 시간 작별할 때도 사용된다.
※ 참고 : 존경어로도 사용할수있다.
2. じゃあね [쟈-네]
ゃ(야)가 작게 붙어있기 때문에 앞에 じ(지)를 じゃ(쟈)라고 말한다.
그리고 じゃ(쟈)뒤에 あ(아)가 있기 때문에 쟈를 길게 읽어서 "쟈-네"라고 읽는다.
"또 보자"라는 뜻이다.
※ 참고 : じゃあ는 그럼이라는 뜻이다. 여기서의 ね는 남에게 동의를 구하는 동의문으로 쓰였다.
3. また会おうね (またあおうね) [마타아오네]
お(오)뒤에 う(우)가 있기 때문에 오를 길게 발음하여 "마타아오-네"라고 말한다.
"다시 만나자"라는 뜻이다.
※ 참고 : また 다시,또라는 뜻이고, 会おうね(あおうね)만나자는 뜻이다.
4. バイバイ [바이바이]
똑같이 발음한다.
뜻은 영어 bye와 같다.
-헤어질 때 "인사" 존댓말
1. お先に失礼します(おさきにしつれいします) [오사키니 시츠레- 시마스]
れ(레)뒤에 い(이)가 있어서 레를 길게발음 하여 "오사키니 시츠레-시마스"라고 말한다.
"먼저 실례하겠습니다", "먼저 가보겠습니다"라는 뜻이다.
※ 참고 : お先に(おさきに) 먼저라는 뜻하고, しつれい실례+します하겠습니다라는 뜻이다./
안녕히 계세요와 비슷한 의도로 쓰인다.
2. お邪魔しました(おじゃましました) [오쟈마 시마시타]
じ(지)뒤에 ゃ(야)가 작게 적혀있기 때문에 じゃ(쟈)로 발음하고 "오쟈마시마시타"로 말한다.
"방해했습니다", "실례했습니다"라는 뜻이다.
※ 참고 : お邪魔(おじゃま)는 방해를 뜻하고, しました는 ○○했습니다를 뜻한다./
윗어른집에 방문했다가 나올때 쓰는말이다.
3. お疲れ様でした(おつかれさまでした) [오츠카레 사마데시타]
똑같이 발음한다.
"수고했습니다"라는 뜻이다.
※ 참고 : 疲れ(つかれ)라는 말은 피로라는 뜻도 있지만,
お疲れ(おつかれ)오츠카레, お疲れ様(おつかれさま)오츠카레사마는 수고했어라는 뜻이다.
이 말은 직장이나 일을 하는 곳에서 많이 쓰인다./
안녕히가세요와 비슷한 의도로 쓰인다.
※ 참고 : 현재 유튜브도 하게 되었으니 참고바랍니다.
'현실 일본어 회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한일 다문화 자녀 일본어 왕초보 공부법 일본어 숫자 공부하기 (0) | 2022.12.30 |
---|---|
한일 다문화 자녀 일본어 왕초보 공부법 상황별 일본어 5탄 (1) | 2022.12.29 |
한일 다문화 자녀 일본어 왕초보 공부법 상황별 일본어 4탄 (0) | 2022.12.28 |
한일 다문화 자녀 일본어 왕초보 공부법 상황별 일본어 3탄 (0) | 2022.12.27 |
한일 다문화 자녀 일본어 왕초보 공부법 상황별 일본어 2탄 (1) | 2022.12.26 |
댓글